이파리/논란 및 사건 사고(비교)
r21 vs r22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546 | 546 |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해당 논란을 일체 부인한 뒤 사과문을 게시하였다. 그러나 패러블·왁물원 및 기타 커뮤니티 이파리들은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. 이에 추측성 주장만 확산되며 '릴파를 소재로 제작한 게임'이라는 단정적 결론이 도출되었다. 논란이 지속되자 결국 게임 판매 중단과 회사 해체라는 극단적 결과를 맞이하였다. [[https://gall.dcinside.com/lovedelivery/232803|간담회 총정리]][[https://archive.md/5fFoW|@]] |
547 | 547 | |
548 | 548 | 한편 릴파 소속사인 패러블은 사건 당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"관련 제보를 받겠다"는 입장만 밝히며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였다. [[https://www.fmkorea.com/6541525778|#]] [[https://archive.md/n5r5t|@]] 그러나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현재까지 패러블 측은 구체적인 법적 조치 결과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. 이는 당초 강경 대응을 예고했던 태도와 대비된다. |
549 | == 타 총공팀 소유의 플레이리스트 생성 프로그램 무단 도용 사건 == |
|
550 | 과거 [[PLAVE]] 총공팀에서 플레이리스트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배포하였다. |
|
551 | 551 | |
552 | 해당 스크립트를 [[이세계아이돌]] 총공팀에서 무단으로 도용하여 변경 후 사용하였는데, 이 과정에서 스크립트의 데이터 부하량이 PLAVE 총공팀 측으로 쏠려 [[X(SNS)|X]]에 항의하는 일이 있었다.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215|#]][[https://archive.md/hrJkG|@]] |
|
553 | ||
554 |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세계아이돌 총공팀에서는 사과하지 않아 PLAVE 총공팀에서 2차 항의를 하였고, 이것이 커뮤니티에 전파되어 논란이 일었다.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249|#]][[https://archive.md/fkDQc|@]] |
|
555 | ||
556 | 와중에 [[Hebi.]]의 총공팀이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도 이를 도용하여 사용했다는 정보가 퍼지기도 했는데, 이 총공팀은 팬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비공식 총공팀이였고, 팀장이 사실 이파리였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. 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470|#1]]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530|#2]]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712|#3]]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8771|#4]][*아카이브55 [[https://archive.md/go4jZ|@1]][[https://archive.md/H7IKJ|@2]][[https://archive.md/By1Cd|@3]][[https://archive.md/jekhI|@4]]] |
|
557 | ||
558 | 심지어 해당 유저는 과거 이세돌의 총공팀 소속이자, 속칭 "작업계"였다는 것도 밝혀졌다. 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9094|#1]]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9459|#2]][*아카이브56 [[https://archive.md/zaYwt|@1]][[https://archive.md/ZY6ci|@2]][[https://archive.md/ipM1N|@3]]] |
|
559 | ||
560 | 해당 자칭 총공팀의 팀장은 본 문서의 목차 사진을 X에 게시하며 이세돌 팬을 내려놓고 Hebi.의 팬이 되겠다는 글을 쓴 전적이 있어 시시비비가 일었으나, 최근 게시글에서도 이세계아이돌의 팬 활동을 이어져 온 것이 밝혀져, 결국 가면을 쓴 것으로 밝혀져 해당 유저는 결국 사과문을 게시했다. 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9178|#1]][[https://m.dcinside.com/mini/vtubersnipe/3459318|#2]][[https://archive.md/qwXmz|@1]][[https://archive.md/HwgB1|@2]] |
|
561 | 561 | == 아카네 리제 Drowning 커버 신고 테러 의혹 == |
562 | 562 | 이파리가 뚜렷한 근거 없이 커버곡 신고 테러 가해자로 지목된 사건이다. [[2025년]] [[1월 4일]]경 [[스텔라이브]] 소속 [[아카네 리제]]의 [[https://youtu.be/CyOAmEihVHs|WOODZ - Drowning]] 커버곡이 유튜브 검색으로 찾아지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.[[https://www.fmkorea.com/7888750823|#]][[https://archive.md/yxwxs|@]] 처음에는 이에 대해 유저들은 [[#s-3.1.5|아이리 칸나 커버곡 테러]]의 전례처럼 이파리가 커버곡 영상에 신고 테러를 하여 알고리즘에 뜨지 않게 했다고 주장했다.[[https://www.fmkorea.com/7888701889|#1]][[https://www.fmkorea.com/7888787436|#2]][*아카이브52 [[https://archive.md/cG0b0|@1]] [[https://archive.md/etA82|@2]]] |
563 | 563 | |
... | ... |